홍주인뉴스] ‘분만 취약지역 출산 지원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전용식 총괄 기자 jys@hongjuin.news
충남도가 설립을 추진 중인 공공산후조리원의 설립 방향과 규모, 시기 등이 제시됐다.
18일 충남도서관 다목적실에서 김용찬 도 행정부지사와 자문교수, 관계 공무원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분만 취약지역 출산 지원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가 개최됐다.
연구용역은 충남여성정책개발원이 지난 3월부터 진행 중이다.
최종 보고된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도내 민간 산부인과가 없는 곳은 청양과 태안 등 2개 지역이며, 분만산부인과가 없는 곳은 청양·태안·계룡·부여 등 6개 시·군, 산후조리원이 없는 곳은 10개 시·군으로 확인됐다.
분만산부인과는 천안 16곳을 비롯해 총 33곳, 산후조리원은 5개 시·군 16개소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도내 임산부 32.4%는 거주지 외 산부인과로, 7.9%는 타 시·도 산부인과로 이동, 원정 산전 관리를 받았다.
2017년 기준 1만 5670명의 산모 중 도내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는 4997명, 31.8%로 조사됐다.
지난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에서도 도내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는 35.9%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타 시·도 산후조리원을 이용(15.1%)하거나, 친정·시부모댁(35.9%) 등에서 산후조리를 했다.
전국 평균 산후조리원 이용률은 73.4%, 농촌지역은 평균 54.4%로 나타났다.
도내 분만 취약 10개 시·군에 거주하는 만19세 이상 임신·출산 여성 2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61.4%가 공공산후조리원이 설립되면 적극 이용하겠다고 답했다.
공공산후조리원 운영 시에는 △산후조리 비용 △쾌적한 시설과 환경 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고, △감염 예방 등 안전관리와 △종사자의 전문성도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충남여성정책개발원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충남도가 설립 추진 중인 충남공공산후조리원은 △분만 취약지 임산부의 원거리 산후조리 어려움 해소 △산후조리 비용 부담 경감 △공공산후조리 편의시설 및 올바른 산후조리 서비스 모델 제공 등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설치시기는 분만 취약지 임산부 불편을 조기에 해소할 수 있도록 연말까지 추진방안을 마련해 조속한 시일 내 시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추진 방식으로는 △도 공모 사업을 통한 재정 지원 및 시·군 협력 추진을, 설치 규모는 △설치 대상지 인근 시·군의 임산부 규모를 고려해 15∼20실을 제시했다.
김용찬 부지사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서는 임산부에 대한 맞춤형 출산지원정책도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그동안 추진해 온 임신·출산 지원 사업을 재진단해 출산율 제고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방안을 마련할 것이다”고 말했다. 전용식 총괄 기자 jys@hongjuin.news
홍주in뉴스
블로그 기반의 홍주in뉴스는 스마트한 세상, 스마트한 언론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합니다. 홍주in뉴스의 모든 콘텐트(기사)의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hongjuinnews. All Rights Reserved.
hongjuin.news
'홍주in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해선-신안산선 직결’, 반드시 필요 (0) | 2019.09.19 |
---|---|
'멸종위기종 수원청개구리, 충남지역 서식지 보전 정책 워크숍' (0) | 2019.09.19 |
ASF 중점관리지역 지정, 연천, 파주, 포천, 동두천, 김포, 철원 등 집중 방역 실시 (0) | 2019.09.18 |
18일 제3회 충청유교 국제포럼 개최…한·미·중·대만 전문가 참석 (0) | 2019.09.18 |
“돈암서원에서 세계유산 등재 기념 고유제 열리다” (0) | 2019.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