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항 국제환경테마특구로 변신 가능한가. ‘서천 브라운 필드’
‘장항제련소 오염정화 토지 활용 기본구상 수립 용역 중간보고‘
전용식 총괄기자 jys@hongjuin.news
서천군의 옛 장항제련소 일원 브라운 필드를 국제적 생태환경 거점으로 부활할 수 있을까.
일제강점기 수탈과 근대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과 산업시설 가동 중단으로 인한 구도심 쇠퇴 등의 현실적 대안 모색으로 떠오른 것이, 대한민국 최초의 생태복원형 국립공원이다.
충남도는 7일 서천군청 대회의실에서 장항 오염정화 토지 활용방안 기본구상 연구용역 1차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지역 주민과 이우성 도 문화체육부지사, 노박래 서천군수, 허재영 국가물관리위원회 위원장, 환경부 관계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날 보고회는 용역 중간보고, 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이번 연구용역은 서천 브라운 필드에 대한 국제환경테마특구 조성 추진을 뒷받침하고, 구체적인 토지 활용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해 8월부터 진행 중이다.
이날 중간보고회에서 연구용역을 수행 중인 국토연구원은 ‘탄소 중립 및 기후위기 시대 대응 장항 브라운 필드 국제환경테마특구’를 비전으로 내놨다.
목표는 △대한민국 최초 생태복원형 국립공원 도시 조성 △한국판 뉴딜정책의 지역 실현 △브라운 필드 재이용을 통한 지역발전 원동력 마련 등을 제시했다.
추진 전략은 △브라운 필드 및 주변 지역 생태계 복원·보전체계 마련 △생태·역사·문화 자원 활용 스마트 생태관광지구 조성 △국가생태산업단지 연계 해양·생태 연구 선도기지 구축 △민·관이 함께 만들어가는 주민주도형 지역재생 등으로 잡았다.
실천 사업으로는 △장항 인공생태습지 조성 △멸종위기종 첨단 연구 및 관리센터 건립 △국립공원 관련 법률 제·개정 추진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 △스마트 생태·역사 탐방로 조성 및 운영 △주요 관광거점 연결 친환경 교통수단 마련 △장항 치유의 역사관 건립 △생태관광 온·오프라인 홍보 체계 마련 등을 도출했다.
이와 함께 △생태모방 연구센터 및 실증화단지 건립 △연안습지(블루카본)연구센터 건립 △해양·생태산업 클러스터링 지원 △장기 체류형 마을 조성 △마을 녹색화 프로젝트 추진 △지역 해설사 육성 및 운영 등도 실천 사업으로 꺼냈다.
이날 중간보고에서는 국제환경테마특구 기본 구상도와 주변 거점 연계도, 세부 공간 구상 등도 제시했다.
이우성 부지사는 “서천 브라운 필드는 일제강점기 수탈과 국가산업 전초기지 역할 수행 후유증으로 토양 오염 등의 아픔을 가진 곳이다”며 “도는 이 지역이 아픈 역사에서 벗어나 지역 성장동력의 상징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적의 활용방안을 찾을 것이다”고 말했다.
도는 6월 2차 중간보고회와 8월 최종보고회를 거쳐 기본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내년 대선 공약에 반영시킨다는 계획이다.
한편 장항은 1900년도 초반 일제가 충청도 지역 미곡과 자원 반출을 목적으로 바다를 메워 조성하고, 1931년 장항선 개통 △1936년 장항제련소 준공 △1938년 장항항 개항 등 수탈을 위한 각종 시설을 설치했다.
장항제련소는 원산 및 흥남제련소와 함께 일제강점기 국내 3대 제련소 중 하나였으며, 210m 규모의 제련소 굴뚝은 당시 아시아 최대 높이로, 우리나라 근대 산업의 상징물로 소개되고 있다.
장항항은 1964년 국제항으로 승격되고, 이후에도 제련소 관련 물동량을 유지했으나, 1989년 장항제련소 운영 중단에 이은 1990년 금강하굿둑 건설로 내리막길을 걷게 된다.
장항항과 장항선 등의 기반시설을 바탕으로 서천군 인구는 1966년 16만 1000명에 달했지만, 현재는 69%가 감소한 5만 1000여 명에 불과하다.
특히 장항제련소가 50년 동안 내뿜은 대기오염물질은 주변 토양을 중금속으로 오염시키며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했다.
이에 따라 도는 2007년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을 건의했고, 토양 정밀조사 등을 거쳐 2009년 관계 부처 합동 종합대책을 이끌어내게 된다.
종합대책을 토대로 환경부와 도, 서천군은 총 970억 원을 투입해 중금속 오염 토지 110만 4000㎡를 매입했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는 환경부가 1941억 원을 들여 오염 토양 정화 사업을 추진했다.
정화 사업을 마친 토양은 이후 도시개발방식의 토지 활용이 모색됐으나, 경제성 부족으로 추진이 중단되기도 했지만, 도는 2019년 국제환경테마특구 구상을 마련하고, 지난해 10월 한국판 뉴딜 시도지사 전략회의 때 이에 대한 추진을 대통령에 건의했다. 전용식 총괄기자 jys@hongjuin.news
'홍주in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성 서부면, 야간 해루질하다 갯벌에 고립된 부부 구조 (0) | 2021.04.11 |
---|---|
트리플코리아-금호한트레이딩, 캐나다 시장에 성공적 안착 (0) | 2021.04.09 |
도심항공교통산업 연구용역 착수 (0) | 2021.04.06 |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 ‘광역생활경제권 전략 수립 용역’ 착수 (0) | 2021.04.05 |
트리플코리아, 4월 특별이벤트 실시 (0) | 2021.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