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홍주in뉴스

천수만에 돌아온 새조개, 178만 패 방류 효과

728x90

천수만에 돌아온 새조개, 178만 패 방류 효과
8년 연속 생산량 ‘0’ 기록하다, 202025올해 75톤 생산 예상
전용식 대표총괄기자 jys@hongjuin.news

2012년 이후 생산량이 전혀 없었던 새조개가 천수만에 돌아왔다.

새조개는 쫄깃한 식감과 바다향 가득한 맛 때문에 서해안 대표 별미로 주목받고 있으나, 그동안 생산량이 급감하며 금값을 주고도 구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도내 새조개 생산량은 20031156톤으로 정점을 찍고 내리막길을 거듭, 20107, 20111톤을 보인 뒤, 2012년부터 8년 연속 공식 통계에서 ‘0’을 기록했다.

새조개는 생산량이 많지 않을 경우, 수협을 통해 판매되지 않기 때문에 통계가 잡히지 않는다.

그러던 202025톤이 생산되며, 9년 만에 ‘0’을 탈출했다. 지난해에는 정부 통계에 오르지 못했으나, 홍성군이 실시한 새조개 어장관리실태조사를 통해 볼 때, 도내 생산량은 17톤 이상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올해 생산량은 75톤가량으로 예상된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공식 통계에서 사라졌던 새조개 생산량이 도의 방류 사업 이후 급증했다는 점이다.

도는 20172월 새조개 모패 14590패를, 20186월에는 중성패 97만 패를 천수만에 방류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자체 개발한 새조개 대량 인공부화 기술을 활용, 201971㎝․1g 안팎의 치패 30만 패를, 지난해 7월에는 50만 패를 생산해 각각 방류했다.

현재 새조개가 주로 생산되고 있는 곳도 방류 해역과 일치하고 있다.

방류 해역에서 채취한 새조개와 도 수산자원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새조개 모패의 유전자 패턴이 동일한 점도 눈길을 끌고 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지난해 10월 치패 방류 해역 조사 등을 위해 잠수인력을 투입, 현장에 서식 중인 5㎝․50g 안팎의 새조개 3개체를 포획했다.

이어 포획 새조개와 도 수산자원연구소 보유 새조개 모패 간 유전자를 비교, 포획 새조개가 연구소 모패의 친자인 점을 확인했다.

도 관계자는 통계가 나오지 않아 속단하기는 곤란하나, 어업인들은 올해 새조개 생산량이 예년에 비해 눈에 띄게 늘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올해 생산량 증가는 일단 저질 환경 개선 사업 등에 따른 수질 개선 효과로 보이지만, 방류 치패와 연구소 보유 모패 간 유전자 패턴이 일치하는 점으로 볼 때, 치패 방류가 생산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닌지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다어업인들도 향후 새조개 방류 해역과 양을 늘려 줄 것을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최근 천수만 5개 지점에서 생산된 새조개를 구입, 1개 지점 당 50패 씩, 250패를 추려 유전자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방류 새조개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살피는 등 효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한편 전국 새조개 생산량은 2010949201242620141910201629320181942020439톤 등으로 증감을 반복하며,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새조개 1당 소비자가는 20175만 원 선, 202075000원 안팎, 지난해와 올해는 67만 원으로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2016년 도내 새조개 모패를 활용한 인공부화 기술 개발에 착수, 같은 해 새조개 인공 산란 기술을 확보하고, 2017년 인공 성 성숙 유도 기술을 개발했으며, 2019년에는 대량 인공 산란 유도를 통해 어린 새조개 생산을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교습어장 연구사업 대상에 선정되며, 새조개 육상 대량 생산을 위한 축제식 양식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서산 대산에 2규모의 축제식 양식장을 확보해 치패를 투입, 올해까지 양식장 환경과 수온 변화, 새조개 생육 변화 등을 살필 예정이다. 전용식 대표총괄기자 jys@hongjuin.news